민족주체성, 그 이상의 가치
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
학년 Grade |
학기 Semester |
주야 구분 Day or Night |
이수구분 Completion |
교과목명 Course |
학점 Credits |
주당시간 Weekly Lessons |
공학인증 Engineering Certification |
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국문 Korean |
영문 English |
강의 Lectures |
실습 Practice |
||||||
1학년 | 1학기 | 주간 | 교양선택 | 제35영역(EGC영역) | EGC | 2 | 0 | 3 | |
주간 | 교양필수 | 사고와표현1 | THINKING AND WRITING1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양필수 | 신입생세미나 | FRESHMAN SEMINAR | 1 | 1 | 0 | |||
주간 | 교양필수 | 휴먼미디어감성코딩 | AFFECTIVE CODING FOR HUMANN MEDIA | 3 | 2 | 2 | |||
주간 | 전공필수 | 국문학개론 |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필수 | 문학의기초 | BASIS OF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필수 | 한국어정서법의이해 | UNDERSTANDING OF KOREAN ORTHOGRAPHY | 3 | 3 | 0 | |||
2학기 | 주간 | 교양필수 | 교양한문 | CULTURAL CHINESE CHARACTERS | 3 | 3 | 0 | ||
주간 | 교양필수 | 사고와표현2 | THINKING AND WRITING2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양필수 | 한국사 | KOREAN HISTORY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현대소설입문 | INTRODUCTION OF MODERN FICTIONS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필수 | 국문학사 |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필수 | 국어학개론 |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| 3 | 3 | 0 | |||
2학년 | 1학기 | 주간 | 교양선택 | 문학과신화 | LITERATURE AND MYTH | 3 | 3 | 0 | |
주간 | 교직소양 | 특수교육학개론 | SPECIAL EDUCATION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사회 | SOCIOLOGY OF EDUCATION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평가 | EDUCATION EVALUTION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학개론 | INTRODUCTION TO EDUCATION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고소설론 | PRE-MODREN FICTION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표현교육론 | THEORIES IN TEACHING WRITING AND COMMUNICATION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어생활과문화 | THE LIFE AND THE CULTURE IN THE KOREAN LANGUAG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어음운론 | KOREAN PHONOLOGY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향가와고려가요 | STUDY OF HYANG-GA AND GORYEOGAYO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필수 | 한국근현대문학사 | A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2학기 | 주간 | 교양선택 | 제34영역(EAL영역) | EAL | 2 | 2 | 0 | 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과정 | CURRICULUM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심리 | EDUCATIONAL PSYCHOLOGY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철학및교육사 | EDUCATIONAL PHILOSOPHY AND HISTORY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구비문학론 | ORAL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국어/한자능력개발 | KOREAN /CHINESE PROFICIENCY TEST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국어문법론 | PRINCIPLES OF KOREAN GRAMMAR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문학교육론 | THEORY OF LITERARY EDUCATION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이해교육론 | THEORIES IN TEACHING READING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중세한국어의이해 | FOUNDATIONS OF MIDDLE KOREAN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현대시의이론 | THEORY OF CONTEMPORARY POETRY | 3 | 3 | 0 | |||
3학년 | 1학기 | 주간 | 교과필수 | 국어교과교육론 | THE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| 3 | 3 | 0 | |
주간 | 교육실습 | 교육봉사활동 | SCHOOL PRACTICUM | 2 | 0 | 3 | |||
주간 | 교직소양 | 교직실무 | PRACTICE IN THE SCHOOL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방법및교육공학 | TEACHING METHOD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다문화사회와학교교육 | MULTI-CULTURAL SOCIETY AND SCHOOL EDUCATION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국어사 | HISTORY OF KOREAN LANGUAG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소설과영화 | NOVEL AND CINEMA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문학과콘텐츠소스개발 | KOREAN LITERATURE & DISCOVERY OF CONTENTS SOURCE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어방언과문학 | KOREAN DIALECTOLOGY &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한문학 | STUDIES IN SINO-KOREAN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현대작가작품론 | MODERN WRITERS AND THEIR TEXTS | 3 | 3 | 0 | |||
2학기 | 주간 | 교과필수 |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| KOREAN RESEARCH OF EDUCATION TEXT AND TEACHING METHOD | 3 | 3 | 0 | ||
주간 | 교직소양 | 생활지도및상담(소양) | GUIDANCE AND COUNSELING | 2 | 2 | 0 | |||
주간 | 교직이론 | 교육행정및교육경영 |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SCHOOL MANAGEMENT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고전비평론 | KOREAN CLASSICAL CRITICISM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시조와가사 | STUDY OF SIJO AND GASA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인간언어문화 | PEOPLE LANGUAGE CUL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어사회언어학 | KOREAN SOCIOLINGUISTICS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현대사회와문학 | MODERN SOCIETY AND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4학년 | 1학기 | 주간 | 교과필수 | 국어교과논리및논술 | TOPICS IN ESSAY OF KOREAN LANGUAGE | 2 | 2 | 0 | |
주간 | 교육실습 | 학교현장실습 | EDUCATIONAL PRACTICE | 2 | 2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고전작가론 | STUDIES ON CLASSICAL KOREAN WRITERS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국어의미론 | KOREAN SEMANTICS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문학비평입문 | INTRODUCTION TO LITERARY CRITICISM | 3 | 3 | 0 | |||
2학기 | 주간 | 전공선택 | 문예사조사 | HISTORY OF LITERARY THOUGHT | 3 | 3 | 0 | ||
주간 | 전공선택 | 문학과저작권 | LITERATURE&COPYRIGHT | 3 | 2 | 1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외국어로서한국어교육 |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의 서사문학 | KOREAN NARRATIVE LITERATURE | 3 | 3 | 0 | |||
주간 | 전공선택 | 한국현대문화론 | STUDIES IN CONTEMPORARY KOREAN CULTURE | 3 | 3 | 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