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덕윤리교육
교육전공
교육목표
계속교육
도덕 윤리교육을 통하여 바르게 사고 할 줄 알고 성숙한 인간이 되게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가치관과 지식 체계를 갖추고 각자의 삶과 생에 대한 실천 의식을 갖게 한다.
전문교육
인간 생활에 필요한 도덕 윤리적 당위성과 인식론을 재정립시켜 전문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을 겸비하며 정보화 사회와 실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유능하고 바람직한 도덕적 인간이 되게 한다.
양성교육
국가관과 민족 주체성 확립을 기하고 부정 불의에 대한 사회상을 비판할 수 있는 자질을 갖게 함과 동시에 세계관과 역사관, 우주관을 바르게 주지시켜 올바른 민주적 가치관을 갖게 한다.
교육과정
교육과정 구분 | 학수번호 | 교과목 | 학점 | 기본 이수과목 |
---|
교과 필수
| 31815 | 도덕윤리교과교육론 (Theory of Moral Ethics Education) | 3 | (1)도덕·윤리교육론 |
---|
31816 | 도덕윤리교과교재및연구법 (Materials & Methods in Teaching Moral Ethics) | 3 | |
32552 | 도덕윤리교과 논리 및 논술 (Logic and Discours in Teaching Moral Ethics) | 3 | |
교과 교육학 | 31823
| 도덕윤리 교육연구 (Studies in Moral Ethics Education)
| 3
| (1)도덕·윤리교육론
|
---|
교과 내용학 | 30044 | 윤리학연구 (Studies in Ethics) | 3 | (2)윤리학개론 |
---|
30046 | 민주주의연구 (Studies in Democracy) | 3 | (3)민주주의론 |
30049 | 복지국가론 (National Welfare) | 3 | |
30050 | 북한연구 (North Korean Studies) | 3 | |
30051 | 통일교육론 (Theories of Korean Unification) | 3 | (3)통일교육론 |
30054 | 한국윤리사상 (Thoughts of Korean Thought) | 3 | (2)한국윤리사상 |
30059 | 인성론 (Theories of Personality) | 3 | |
30061 | 논리학 개론 (Theories of Logics) | 3 | |
32723
| 도덕사회학 (The Sociology of Morals)
| 3
| (3)도덕사회학
|
31408 | 서양윤리사상 (Western Thoughts) | 3 | (2)서양윤리사상 |
31409 | 동양윤리사상 (Oriental Thoughts) | 3 | (2)동양윤리사상
|
31411 | 시민교육론 (Civil Ethics) | 3 | (3)시민교육론
|
31412 | 국가안보론 (National Security) | 3 | |
31825 | 현대철학 (Contemporary Philosophy) | 3 | |
31828 | 현대도덕윤리의제문제 (Problems of Modern Moral Ethics) | 3 | |
31829 | 전통 도덕 윤리사상 연구 (Studies in Tradition of Moral Ethical Thoughts) | 3 | |
32116 | 지구촌 윤리 (Global Ethics) | 3 | |
32117 | 직업윤리 (Occupation Ethics) | 3 | |
선수과목 | 31940 | 지식정보사회와윤리 (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Ethics) | 2 | |
---|
31942 | 성의사회학 (Socilogy of sexuality) | 2 | |
교과목 개요
- 도덕윤리 교과 교육론
- 도덕윤리 교과지도를 통하여 건전한 가치관을 가진 창조적 인간을 육성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.
- 도덕윤리교과교재 및 연구법
- 도덕윤리 교과지도에 사용되는 다양한 교재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에게 수용성이 높은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
- 도덕윤리교과 논리 및 논술
- 도덕윤리학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견해를 조리 있게 말하고 쓸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
- 도덕윤리과 교육과정
-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, 그 성격과 내용을 연구한다.
- 도덕윤리과 교육평가
- 도덕윤리과의 학습 과정 중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과 성취도를 평가를 통해 측정함으로써 교수학습 과정에서 피드백과 전망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
- 도덕윤리과 연구방법 및 논문지도
- 도덕윤리교육을 주제로 하는 연구 방법과 논문 작성법을 학습함으로써 형식적 요건을 갖춘 충실한 연구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.
- 도덕윤리교육 세미나
- 생활속에서 접하게 되는 도덕윤리교육에 관련된 사항을 토론수업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익힘으로써 학생들의 논리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.
- 도덕윤리교육사
- 도덕윤리의 역사는 인간의 지혜와 더불어 인간다운 행위를 하는 데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므로 현대적 관점에서 윤리의 흐름을 고찰하여 학문적 이론을 정립하고자 한다.
- 도덕윤리교육 교수법
- 도덕윤리 교육을 통하여 성실한 생활 자세와 예의바르고 건강한 정신을 갖게 함으로서 창의적 지도법과 태도를 겸비하게 한다.
- 도덕윤리교육 평가법
- 도덕윤리교육을 통하여 윤리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서는 인간의 품성과 도덕적 행위규범을 측정함으로서, 보다 나은 인간 생활과 인성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판단 능력과 실제적인 적응력을 기르게 한다.
- 도덕윤리교육과정 구성법
- 도덕 윤리 교육을 통하여 교수 내용과 교과구성을 논리성이 있고 체계 있게 배열함은 물론 교재순서와 틀도 중등학교 교과 구성과 연계시켜 구성하므로써 유능한 도덕 윤리인이 되게 한다.
- 도덕윤리교육 학생지도법
- 도덕윤리교육을 통하여 학생의 올바른 행동과 성장을 기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개인 생활이나 집단생활에 필요한 적응력과 창의적 활동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.
- 도덕윤리교육 컴퓨터 교육활용
- 도덕윤리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컴퓨터 사용윤리를 갖게 함과 동시에 정보화 에 대비하여 정보홍수의 결과 부상된 부작용을 없게 할뿐만 아니라 훌륭한 정보 문화를 고취시키게 한다.
- 이데올로기 교육론
- 과거 냉전시대의 암흑을 조명하고 새로운 사상을 재정립함은 물론 현 대사회의 새로운 신념과 사상 체계를 확립시키고자 함에 있다.
- 도덕윤리 교육연구
- 윤리교육을 통하여 실생활에서 필요한 기본예절과 윤리규범을 깨닫게 하여 자질을 기르고 새로운 이론을 정립시켜 영역별 연구를 정진시키고자 한다.
- 교직윤리
- 윤리 교육을 통하여 전문적인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관 확립과 역할 ·자세와 태도, 지도성을 연구하여 바람직한 교사상을 갖게 한다.
- 가치교육론
- 윤리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인간의 도덕적 품성과 덕목을 이해시키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갖게 함과 동시에 건전한 정신력과 생활관을 고취시키고자 한다.
- 현대사회와 도덕교육
- 날로 새로운 지식의 정보화와 세계화에 대처하고 실생활에 필요한 도덕적 가치관과 체계적인 윤리적 지식을 실천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기르고자 한다.
- 정보사회와 윤리 교육
- 급변하는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윤리적 문제를 검토하여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주체가 되는 새로운 윤리의식을 갖고자 하는데 있다.
- 윤리학 개론
- 교육을 통하여 윤리학의 이론들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국가적인 바탕 위에서 새로운 이론과 방향을 설정하여 보편적인 원리를 규명하고자 한다.
- 논리학 개론
- 알려진 사실과 확보된 증거를 바탕으로 논제를 정확하고 타당한 방법으로 추리에 접근하여 그 논증을 응용하고자 함에 있다.
- 동양 윤리사상
- 동양 윤리학의 이론적 특질과 발달 과정을 비교 사상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독자성 있는 실천 윤리를 실현코자 한다.
- 서양 윤리사상
- 서양의 문화와 윤리는 근대 이래로 세계를 지배할 만큼 그 기풍을 신장시켜 왔으므로 그 배경 특성을 개관하여 올바른 국민정신을 기르고자 한다.
- 한국 사상개론
- 한국 윤리사상의 흐름과 역사적 사실들을 체계 있게 제시하여 한국 고유의 미풍양속을 구현코자 한다.
- 민주주의론
- 민주주의의 발달과정과 현실적인 체제현상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다 발전된 새로운 민주주의 실천을 기해 보고자 함에 있다.
- 국가안보론
- 안보 교육을 통하여 참다운 조국애를 갖게 함과 동시에 인간 본연의 생활 자세를 겸비하고 국가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참 인격자와 확고한 국가관을 확립시킬 수 있는 신념체계를 기르고자 한다.
- 통일교육론
- 국제 정세의 변화와 함께 통일 문제를 민족적 정통성의 측면에서 통일 정책을 비교하여 타당성 있는 통일 방안을 구현시키고자 함에 있다.
- 시민 교육론
- 시민 사회의 전반적인 윤리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사회정의와 자유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과 자질을 함양하고 자주적 행동을 실천코자 하는데 있다.
- 상담심리학
-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상담 기법을 탐구하고 인간의 행동 특성을 심리적 측면에서 그 본질을 연구하고자 한다.
- 인성론
- 인성의 중핵을 이루고 있는 인간의 독특한 특성을 고찰하여 자아실현을 기하고자 함에 있다.
- 인간학
-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한 인성발달과 역할 기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생리적·문화적 상태로 동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.
- 북한연구
-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정착시키고 평화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김일성 주체사상을 비판하고 학문적 가치관을 올바르게 이해시키고자 함에 있다.
- 복지국가론
- 의료 시책과 실업 보험, 노후 부양 등 복지 사회의 기반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자립과 복지 국가상을 구현코자 함에 있다.
- 현대철학
- 모든 학문의 기본이 되고 있는 지혜에 대한 사랑을 새롭게 제시하여 비판적 이고 창의적인 주장을 논리 정연하게 표시코자 한다.
- 도덕(발달)심리학
- 인간의 성장발달과정에서 일어나는 도덕성 발달과 심리적 변화 현상을 실제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창의력과 올바른 행동수행능력을 기르게 한다.
- 현대도덕윤리의 제문제
-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의 행동양식에 있다고 보아지므로 현대적인 시각에서 여러 가지로 이를 분석하여 새로운 윤리의식을 갖고자 하는데 있다.
- 전통 도덕 윤리사상 연구
- 도덕 윤리 교육에 대한 사상적 역사적 이해와 우리의 전통적 관습과 미풍양속의 흐름을 고찰하고 현재의 도덕 윤리 교육을 이해시킴은 물론 앞으로의 도덕적 방향을 탐구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바람직한 도덕적 인간을 기르고자 한다.
- 지구촌 윤리
- 세계화와 더불어 급변하는 지구촌의 윤리적 문제를 검토하여 윤리적 본질을 분석하고 비판적이며 새로운 윤리의식을 갖추도록 한다.
- 직업윤리
- 다양한 직업이 생겨나고 없어지는 현대사회에서 진정한 직업적 윤리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비판하여 올바른 직업윤리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.